당구 각도 계산법 종결
- 카테고리 없음
- 2020. 12. 2. 21:33
같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
당구 잘치는 방법 / 계산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당구 잘치는 방법,계산법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초보님들에게 유용할 듯 싶어 준비해왔습니다.
우선 4구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보러 오셧다면 당구장을 몇번 혹은 수십번 치신 분들일텐데요.
초보자의 입장에서 기초를 중점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큐대를 선정해야 합니다.
당구대 옆에 나열된 큐대만 해도 10개 가량 되는데요 초보님들에게는 곧고. 약간은 무거운 큐대가 자세유지하는데 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밀었을 떄 큐대가 흔들림없이 일직선으로 뻗기 위함인데요 손으로 들었을 때 다른 큐대에 비해 무거운게 고 큐대를 당구대 위에 올려 굴렸을때 울렁거림 없이 부드럽게 구르는게 좋은 큐대라 할 수 있습니다
게임에 들어가기전, 장갑을 끼거나 손에 분칠을 하게 됩니다. 손에 땀이 있거나, 손바닥과 큐대의 마찰로 인해
큐대의 직진성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고, 부드러운 진행을 유도하기 위함인데요 취향에 맞게 선택 혹은 선택하지 않으시면 되겠습니다.
큐대와 당구공과의 마찰로 인해 큐대 끝은 경면(거울과도 같이)에 가깝게 변해갑니다.
쵸크칠 없이 계속 친다면 경면에 가까운 큐대 끝과,이미 경면인 당구공이 마찰없이 미끄러져 버립니다.
우리는 이것을 삑사리라고도 합니다. 초크는 자주 칠 해 주면 좋습니다.
당구 칠 준비가 되셨다면, 당구대 위로 큐대를 가져가 자세를 잡습니다. 위 사진중 위쪽의 자세가 좋은 자세입니다.
눈과 큐대와 본인의 공 이 일직선 상에 놓이게 하고, 좌,우 위,아래 흔들림 없이 그대로 큐대를 미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자세입니다.가급적이면 눈과 큐대가 가깝게 하면 할 수록 흰공과 큐대가 접촉되는 지점의 정확도가높습니다.
이제 준비가 되셨다면, 당구공을 칠 차례입니다.처음 하시는 분들께는 사진과 같이 정중앙에 타격지점 을 놓고치시길 권합니다.
회전을 주지 않고 당구공과 당구공, 혹은 당구공과 당구대가 부딪혔을 때,물리적인 변화에 대한 이해가 수반 되야지만 ,뒤 따라 오는 더 높은 기술들을 쉽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회전없이 ( 무시네 ) 1적구 ( 첫번째 빨간공 )를 맞췄을 때,1적구와 수구 ( 나의 흰공 ) 의 각도 변화 입니다.
이것만 알고 며칠 연습하시면 순식간에 80 다마로 올라가실 것입니다.
맞힐 두께 |
1/6 (6분의 1) |
1/4 |
1/3 |
1/2 |
2/3 |
3/4 |
흰 공의 각도 |
30 ˚ |
40 ˚ |
45 ˚ |
60 ˚ |
70 ˚ |
75 ˚ |
1적구의 각도 |
60 ˚ |
50 ˚ |
45 ˚ |
30 ˚ |
20 ˚ |
15 ˚ |
기본적으로 나누어본 각도 도표입니다. 흰 공 (나의 공) 으로 1적구 ( 첫번째 맞히는 빨간공 ) 를 도표의 두께만큼 무회전 ( 흰공의 정 중앙 ) 으로 맞혔을 때 , 1적구와 흰공의 분리각 ( 변화하는 각도 ) 에 대한 도표입니다.
1적구와 흰공의 각도 합은 항상 90 ˚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물리적으로 확립된 현상입니다.
4구는 단순한 각도 변화에 의한 득점이 많으므로 (초보들 경우 )이 분리각에 대해서 항상 유념하시고, 실력이 늘때까지 무회전으로 분리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신다면 금새 고득점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당구 잘치는 방법. 어렵지는 않습니다.
그림을 정밀하게 그리지는 못했습니다 ㅎㅎ (무회전) 흰공으로 1적구의 1/2지점을 맞춰 보겠습니다.
1/2을 맞히면 흰공은 60 ˚ 의 분리각이 생긴다고 도표에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1적구와 흰공의 합은 항상 90 ˚ 이므로
2적구의 정중앙을 향해 흰공이 날아갑니다. 그림상의 3번이 2적구입니다.
각도 계산의 이해는 되셨나요? 당구대 위에 무분별하게 놓여있는 빨간공들을 각도 계산을 통해 맞혀 보겠습니다.
1번 그림처럼 놓여져 있군요 흰공과 1적구가 부딪히고 난 후 양쪽의 각도 합이 90 ˚이니까 1적구와 2적구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선의 교차점이 1적구와 부딪히기 직전 흰공의 중심점이라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2번 그림 참고
이제 공을 치시기전 각도 계산이 끝났습니다. 그림 3 처럼 가상의 공 중심점과 흰공의 중심점이 만나도록큐대를 밀면 됩니다~당구 잘치는 방법. 금방입니다.
당구는 힘조절이 관건입니다 특히 4구에서는..
무회전으로 분리각 계산에 따라 친다해도 위 사진과 같은 변화가 따라옵니다. 힘에 따른 흰공의 진행방향입니다.
분리각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때 까지 항상 비슷한 힘으로 치시고, 회전을 주고 치는 것은 분리각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된 후에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분리각 계산에 따라 치기만 해도 꽤 득점을 하실 겁니다~간단한 쿠션을 추가로 알고 계셔도 당구 잘치는법은 어느정도 마스터 하신겁니다~
흔히 말하는 다데입니다 흰공으로 1적구를 살짝 비껴갈정도로 맞히면 쿠션을 맞고 되돌아와 2적구를 맞히게 됩니다.
이 방법도 1,2적구들의 놓인 위치에 따라 분리각을 응용하면 대부분의 공을 분리각+ 1쿠션을 통하여 득점할 수 있습니다.
이정도 간단한 기술들로 200까지 치십니다. 당구 잘치는 방법이라는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아요.
1쿠션없이 먹기 힘들정도로 1,2적구의 각도가 많이 벌어져 있을 떄 ( 위 사진 ) 2적구 뒤로 돌아가는 흰공의
가상 진행 선을 그리고 그 선과 1적구의 분리각 계산에 의해 흰공을 치면 되겠습니다.
1적구의 1/3 지점을 맞힌다는 가정입니다. 흰공의 분리각은 45 ˚ 일것이고
위에서 그린 가상의 선과 분리각에 따른 흰공의 진행방향이 일치하는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변화하는 각도에 대한 이해만 있으면 득점이 쉽습니다. 각도 계산이 약간 틀린다 해도 당구공의 직경이 80mm가량 되므로 살짝이라도 맞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냥 감으로 치는 것과 각도 계산에 따라 치는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초보님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당구 잘치는 방법에 대한 간략한 정보였습니다.
역회전 입니다. 아직 이른듯 하지만, 이해만 잠깐 하시라고 짧게 쓰겠습니다. 공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주는 것인데요~
흔히들 히끼라고 (끌어치기) 하죠 역회전을 준 흰공이 1적구의 정중앙과 충돌하면 이동하던 힘이 사라지고,
회전하는 힘이 살아남아서 다시 되돌아오는 원리입니다.
이상 당구치는법을 알아봤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